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자진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1일 확인됐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사표 수리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습니다. 여권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이 위원장은 전날 윤 총장에게 "탄핵으로 방통위 업무에 부담을 줄 수 없다"며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이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보도된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인사권자의 뜻을 임의로 예측할 수는 없지만 100번 양보하고 그만두더라도 제2, 제3의 이동관이 나온다"며 "언론 정상화를 위한 열차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오후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이 위원장의 탄핵안을 통과시킬 계획이었지만 이 위원장의 사의 표명으로 무산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국회는 전날 민주당이 제출한 이 위원장 탄핵 관련 보고서를 완성했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임명한 첫 방송통신위원장은 이동관 위원장입니다.
미디어 분야에서 활약하며 오랫동안 공보 업무를 담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른바 '공영방송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는 1957년 10월 6일 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신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습니다. 그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를, 하버드 대학교 니만 펠로우즈에서 행정학 석사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군 복무 중 1985년 12월 동아일보에 입사했습니다. 그는 도쿄 특파원, 정치부 장관, 동아일보 논설위원 등을 역임했습니다.
지난 17대 대선에서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 캠프에 합류해 공보특보로 정계에 입문했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을 지낸 뒤 청와대 대변인, 홍보수석, 청와대 언론특보 등 이명박 정부 시절의 국정에 담담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19대 총선에서는 친박계 대표였던 홍사덕 의원에게, 20대 총선에서는 국민의힘 박성정 의원에게 각각 패배했습니다.
2021년 윤석열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 미디어커뮤니케이션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정계에 복귀해 윤석열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습니다.